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근대 철학 (1) - 경험론

by hehebooklog 2024. 11. 19.

경험론: 근대 철학의 실증적 접근

**경험론(Empiricism)**은 모든 지식이 감각적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는 철학적 입장으로,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했습니다. 경험론은 이성을 통해 선천적 지식을 강조했던 합리론과 대조적으로, 인간의 지식은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합니다. 이 입장은 과학적 탐구 방법과 연계되며 근대 철학의 핵심적인 흐름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경험론은 존 로크, 조지 버클리, 데이비드 흄과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인식론, 윤리학, 정치철학 등에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경험론의 기본 개념, 주요 철학자들의 사상, 그리고 근대 사상사에서의 의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경험론의 기본 개념

1) 경험론의 정의

경험론은 모든 지식의 기원이 감각적 경험이다라는 주장에 기초합니다. 인간이 세상에 대해 아는 모든 것은 직접적인 감각 경험이나 그것을 기반으로 한 관찰과 분석에서 비롯된다고 봅니다.

2) 주요 원리

  • 감각의 우위: 감각적 경험이 모든 인식의 기초이며, 지식은 관찰 가능한 사실로부터 도출됩니다.
  • 귀납적 추론: 경험적 사례를 바탕으로 일반적 원리를 도출하는 방식이 강조됩니다.
  • 반(反) 선천적 지식: 인간은 태어날 때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백지상태)로 태어나며,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한다고 주장합니다.

3) 경험론의 문제의식

경험론은 다음과 같은 철학적 질문들에 답하려 했습니다.

  • 인간이 세계에 대해 아는 것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 지식의 한계와 범위는 무엇인가?
  • 경험과 감각이 신뢰할 만한 근거를 제공하는가?

2. 주요 경험론 철학자와 사상

1) 존 로크 (John Locke, 1632~1704년)

로크는 경험론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사상은 근대 경험론의 기초를 세웠습니다. 그는 《인간 오성론(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에서 인간 인식의 기원과 본질에 대해 탐구했습니다.

1) 백지설(Tabula Rasa)

  • 로크는 인간의 마음이 태어날 때 **"백지(Tabula Rasa)"**와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 모든 지식은 감각 경험과 학습의 결과로 형성되며, 선천적 지식이나 관념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2) 두 가지 경험의 원천

  • 감각(Sensation): 외부 세계로부터 들어오는 감각적 자료.
  • 반성(Reflection): 감각적 자료를 조합하고 분석하는 내적 사고 활동.
  • 이 두 가지 경험이 인간이 아는 모든 지식의 원천이라고 주장했습니다.

3) 1차와 2차 성질

로크는 사물의 속성을 1차 성질2차 성질로 구분했습니다.

  • 1차 성질: 물리적 실체에 본질적으로 속하며, 객관적인 속성(예: 크기, 형태, 운동 등).
  • 2차 성질: 감각을 통해 지각되며, 주관적 속성(예: 색깔, 냄새, 맛 등).

4) 자연권과 정치철학

  • 로크는 정치철학에서도 경험론을 적용하여 인간이 경험을 통해 **자연권(생명, 자유, 재산)**을 이해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그의 사상은 사회계약론의 기초를 형성하며 근대 민주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 조지 버클리 (George Berkeley, 1685~1753년)

버클리는 유심론적 경험론을 제시하며, 경험론의 범위를 철학적으로 확장했습니다. 그는 외부 세계의 실재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관념주의적 입장을 발전시켰습니다.

1) "존재는 지각되는 것이다(To be is to be perceived)"

  • 버클리는 외부 세계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지각 속에서만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모든 존재는 관념(idea)의 형태로 인간의 마음에 나타날 뿐이며, 물질적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2) 신의 역할

  • 버클리는 신이 모든 존재의 궁극적 지각자로서, 세상의 관념을 유지한다고 보았습니다.
  • 따라서, 물질적 실체 없이도 세상은 신의 지각 속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3) 경험론의 순수화

  • 버클리는 경험론을 극단적으로 확장하여, 감각적 경험을 제외한 모든 개념적 실재를 부정했습니다.

3) 데이비드 흄 (David Hume, 1711~1776년)

흄은 경험론을 정점으로 끌어올린 동시에, 그 한계를 명확히 인식한 철학자입니다. 그는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A Treatise of Human Nature)》에서 인간 지식과 경험의 본질을 철저히 분석하며, 철학적 회의를 제기했습니다.

1) 인과성에 대한 회의

  • 흄은 인과관계가 경험에 의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 우리가 인과성을 인식하는 것은 **"한 사건 뒤에 다른 사건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험"**에 기초한 심리적 습관일 뿐입니다.
  • 따라서, 인과관계는 필연적이지 않으며, 지식의 확실성을 제공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2) 감각과 자아

  • 흄은 자아를 **"감각과 인상의 묶음"**으로 간주하며, 독립적이고 영속적인 자아의 존재를 부정했습니다.
  • 우리의 자아는 지속되는 실체가 아니라, 연속적인 경험의 흐름이라고 보았습니다.

3) 경험론의 한계와 회의주의

  • 흄은 경험론이 지식의 기초를 제공하지만, 궁극적으로 인간은 경험의 한계를 넘어선 진리에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 이로 인해 철학적 회의주의를 강조하며, 경험론 자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제기했습니다.

3. 경험론의 의의

1) 과학적 방법론의 기초

  • 경험론은 관찰과 실험을 중시하며 근대 과학 혁명의 철학적 기초를 제공했습니다.
  • 뉴턴의 물리학은 경험론적 방법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습니다.

2) 지식의 출발점 강조

  • 모든 지식은 경험에서 출발한다는 경험론의 원리는 근대 인식론의 주요 논의 주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 인간 인식의 기원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3) 근대 정치철학의 토대

  • 로크의 경험론은 자유, 평등, 권리라는 개념을 정치적 담론의 중심으로 끌어올렸습니다.
  • 이는 미국 독립선언과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기초를 제공했습니다.

4) 철학적 회의주의의 발전

  • 흄의 회의적 경험론은 칸트의 비판철학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경험론과 합리론의 종합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4. 경험론의 한계

  • 경험의 제한성: 경험론은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초월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설명하는 데 한계를 가집니다.
  • 형이상학적 문제 회피: 경험론은 감각적 경험에 초점을 맞추면서, 존재와 본질 같은 형이상학적 문제를 충분히 다루지 못했습니다.
  • 과학적 확실성의 문제: 흄의 비판처럼, 경험에 의한 귀납적 추론은 필연성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결론

경험론은 인간 지식이 경험에 기초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근대 철학과 과학 혁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 철학 (3): 독일 관념론  (0) 2024.11.19
근대철학 (2)- 합리론  (0) 2024.11.19
근대철학 : 경험론, 합리론, 독일 관념론  (0) 2024.11.19
중세철학 (2) - 스콜라 철학  (0) 2024.11.19
중세철학 (1) 교부철학  (0)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