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을 지식들

📚 한국의 상속세 완벽 정리

by hehebooklog 2025. 1. 1.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해 상속인이 재산을 상속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속세 면제 한도, 아파트 상속, 현금 상속, 매도 시 양도세 발생 여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상속세란?

  • 정의: 피상속인이 남긴 재산을 상속인이 상속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납부 의무자: 상속을 받은 상속인 또는 수유자.
  • 세율: 누진세율로, 10% ~ 50%까지 적용됩니다.

2. 상속세 면제 한도

  • 기본공제: 5억 원
  • 인적공제: 배우자 5억 원, 미성년자 1,000만 원 × 성년될 때까지의 연수, 65세 이상 직계존속 500만 원 등
  • 기타공제: 금융재산공제, 동거주택 상속공제 등

예시:
만약 배우자가 재산을 상속받는다면 기본공제 5억 원 + 배우자공제 5억 원 = 총 10억 원까지는 상속세가 면제됩니다.


3. 아파트 상속

  • 상속세 부과: 상속받은 아파트는 평가금액(기준시가, 감정평가액)에 따라 상속세가 부과됩니다.
  • 현금 상속: 현금도 상속세 과세대상입니다.
  • 부동산 평가: 공시지가, 매매 사례가액, 감정평가액 중 높은 금액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4. 아파트 및 건물 매매 시 양도소득세

  • 상속받은 부동산을 매도할 경우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취득가액: 상속 당시의 평가금액이 취득가액으로 인정됩니다.
  • 보유기간: 상속인의 보유기간은 상속인이 부동산을 직접 취득한 날로부터 계산됩니다.

상속 후 바로 매도할 경우:

  • 양도차익이 발생할 경우 양도세가 발생합니다.
  • 상속받은 날을 기준으로 취득가액이 계산됩니다.

5. 아파트 상속 후 전세 및 2년 경과 후 매도 시 양도세

  • 2년 보유 여부 중요: 상속받은 아파트를 2년 이상 보유한 후 매도할 경우,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임대(전세) 후 매도: 상속 후 전세를 놓고 2년이 경과한 경우에도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의사항: 전세기간 동안 실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6. 양도세 비과세 요건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1.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해야 함
  2. 보유 기간 2년 이상 (취득일 기준)
  3. 실거주 기간 2년 이상 (일부 경우에만 적용)
  4. 양도차익이 12억 원 이하일 경우

예시:
상속받은 아파트에 2년 거주 후 매도할 경우, 양도차익 12억 원까지는 양도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7. 상속세 vs 증여세

  • 상속세: 사망 후 재산을 물려받는 경우 부과.
  • 증여세: 생전에 재산을 증여받는 경우 부과.

공통점:

  •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세율이 올라가는 누진세율 적용.

차이점:

  • 증여세는 증여받는 순간 부과되며,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사망 후 부과됩니다.

8. 상속세 절세 전략

  1. 사전 증여 활용: 생전에 일정 금액을 증여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공제 항목 확인: 배우자 공제, 금융재산 공제, 동거주택 상속공제 등을 적극 활용합니다.
  3. 전문가 상담: 세무사와 상담하여 합법적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9. 마무리

한국의 상속세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공제 항목과 면제 조건이 존재합니다.

  • 아파트나 현금 상속 시에는 정확한 평가와 세금 계산이 필요합니다.
  •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보유 기간과 실거주 요건을 신중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 TIP: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세금 계산 및 절세 전략을 세우세요.


더 구체적인 정보나 최신 세법이 필요하다면 국세청 공식 홈페이지(www.nts.go.kr)를 확인하거나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추천드립니다!